[ 매드타임스 박재항 대기자] 코로나 19가 위세를 떨치던 초기 2년간, 그러니까 2020년부터 서울 마포구 공덕동에 있는 회사로 일주일에 한두 번 가서 일했다. 대중교통을 타는 게 찝찝할 때였다. 다니던 헬스센터에서의 운동도 한동안 여의찮았다. 집이 한강과 가까이 있어서, 운동하기 위해서 아침에 한강공원을 자전거를 타고 달렸다. 공덕동의 회사까지도 자전거로 갈 수 있을 것 같았다. 시험 삼아 휴일 아침에 달려보니 자전거로 내가 마구 페달을 밟고 가면 40분이 좀 넘게 걸렸다. 버스나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보다 어떤 때는 자전거가 효율적이었다. 마침, 집 앞에 바로 서울시 대여 자전거 따릉이 거치소가 있었다. 그래서 날씨가 좋으면 가끔 한강공원 길로 자전거를 타고 마포대교를 건너서 사무실로 가곤 했다.
마포에 있는 초중고를 다녔던 관계로 어릴 때부터 마포대교는 낯설지 않았다. 초등학교 때 지금 삼각지에 있는 전쟁기념관의 전신 같은 곳이 여의도에 있어서 소풍을 가려고 처음으로 마포대교를 걸어서 건넜다. 이후 중고교 시절에는 여의도에 사는 친구들 집에 놀러 오가며 갔다. 주로 버스를 타고 건넜지만, 여럿이 어울려 놀다가 내친김에 걸어서 건넌 경우도 많았다. 대학 시절에는 여의도의 광장에서 열리는 정치집회 때문에 걸어 건넜다. 워낙 많은 사람이 몰리고 하니까, 그런 행사 때는 경찰에서 아예 걸어서 건너게만 통행 관리를 하기도 했다.
마포대교는 내게 그런 추억이 우선이었다. 그러다가 2012년 9월 ‘생명의 다리’ 캠페인이 나왔다. 마포대교를 걸어가면 난간에 조명이 들어오며 거기에 새겨진 글귀들이 나타난다. ‘밥은 먹었어?’, ‘요즘 바빠?’ 등의 질문처럼 말을 건넨 후에, ‘가슴이 먹먹할 때 어때요? 노래 한번 불러 보는 거’, ‘가장 빛나는 순간은 아직 오지 않았다’와 같은 문장들이 잇는다. 칸 라이온즈를 비롯하여 수많은 수상 실적을 거두었고, 사회에 긍정 파장도 크게 일으킨 바람직한 광고로 손꼽혔다. 그 캠페인이 성공하면서 어린 시절의 추억은 뒤로 가고 ‘자살’이 마포대교라고 할 때 나의 첫 연상이 되었다. 자전거로 마포대교를 건널 때도 풍경이나 다리 위의 밤섬 생태체험관보다 ‘생명의 다리’ 캠페인이 시작된 직후 세워진 ‘한 번만 더’ 동상이 눈에 먼저 들어오고, 기억에 남았다.
마포대교의 연상이 다른 이들에게도 그렇게 바뀐 게 문제였다. 한국의 자살률이 세계 최고를 기록한 건 오래되었는데, 그 상징이 마포대교가 되어버렸다. 캠페인 이후에 급격히 늘어난 마포대교에서의 자살 시도자 수가 증거처럼 제기되었다. 미국의 금문교나 영국의 에드워드 자리와 같은 자살의 명소로 마포대교가 인지되었고, 한 전문가에 따르면 캠페인 이후 2년 동안 투신율이 6배가 늘었다고 한다. 예기치 않은 반전이 생긴 셈이다.
서울시에서는 그런 반전에 맞서 자살 예방을 위한 순찰을 강화하고, CCTV를 더욱 많이 설치하고, SOS 생명의전화 등 다양한 자살 예방 대책을 시행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때 당시 야당의 한 의원이 “교량에서 자살 시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펜스와 그물망 설치 등 자살 방지의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발언했다.
꼭 그 의원의 발언 때문은 아니었겠지만, 서울시는 안전 펜스를 1.5미터로 만들었다가, 2016년 12월에는 2.5m로 높였다고 한다. 이후에 투신자살 건수가 211건(2016년)에서 163건(2017년)으로 감소했다며 긍정 평가를 했다. 그러고는 자살 예방 문구가 실효성이 없다고 봤는지 2019년에 마포대교에 쓰인 문구를 모두 없앴다. 안전 펜스를 강화한 효과도 그리 오래가지는 못했던 것 같다. 소방본부에서 국회로 제출한 자료를 보면 2021년부터 2023년 9월까지 서울 시내 주요 한강 다리 위 자살 시도 건수는 총 2,345건에 달했는데, 마포대교가 622건으로 압도적으로 가장 많았다. 한강대교 232건, 양화대교 172건, 한남대교 158건, 동작대교 138건 등이 뒤를 이었다.
기술 발전에 맞춘 예방 시스템도 도입되었다.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이 주인공이었다. 4개의 한강 수난구조대에 흩어져 있던 모니터링 체계를 통합해 AI가 CCTV 영상을 딥러닝으로 학습해 투신 시도자의 행동 패턴을 찾는 방식이라고 한다. 그 결과 자살 시도로 숨진 사람이 지난 2021년 13명에서 2023년에는 2명으로 줄었다고 소방본부는 얘기했다.
대통령 부인의 여러모로 갑작스러운 방문으로 마포대교가 다시 화제에 올랐다. 미국 뉴욕의 월드트레이드센터가 무너지고, 아프간 전쟁이 촉발된 날로만 기억하는 9월 11일이 ‘세계 자살 예방의 날’이라는 걸 덕분에 알았다. 내린 교시나 나온 대책은 펜스 높이와 AI 등 2012년 이후에 나왔던 수준을 넘어서지 못한 것 같다. 2012년 처음 ‘생명의 다리’ 캠페인이 시작되었을 때, 이런 댓글들이 나왔다. ‘살고 싶은 나라가 아니라 죽지 못하는 사회가 됐다’ ‘자살을 어렵게 만들지 말고 자살 시도를 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어줘야 한다’. 보다 근본적인 데서 최근 2년간 다시 증가한다는 자살률의 추세를 누르는 진짜 반전이 나올 것이다.
박재항 매드타임스 대기자, G_BAT대표, 서경대학교 교수